Subverted Anatomical Landscape ≪KILL≫
Identity design. Commercial, Jun. 2024
To find out more about the project details, hover here ↗
프로젝트 시각화 콘셉트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기준이 되었던 두 가지 조건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KILL≫ 제 1장부터 제 5장까지 [죽음]을 바탕으로 작품이 진행되는데,

이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정의할지.

2. 반복되는 [죽음]을 통해 불완전한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정의할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셉트로 [불균형]이라는 형태적 언어를 제안했고, 이를 바탕으로 뷸균형이 거듭되는 형태를 통해 작품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또 작품이 제 1장부터 제 5장까지 순서를 가지고 진행되는다는 점을 고려해, 결과물에서 단절된 이미지가 아닌 [흐름]을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의도했습니다. 시각화 작업을 진행하며 결과적으로 작품에서 의미하는 [죽음]이 ['有(유)’의 상태가 아닌 ‘無(무)’의 상태]라 해석해 [죽음]을 나타내기 위한 접근법으로 [소거하는 법을 통한 불균형 표현]이라는 타이틀을 도출했습니다. 반복되는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장 완전한 형태, 즉 원에서 시각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어떤 원이 될 것인가.'에 대한 물음으로 시작해 면과 선, 그리고 점으로 구성된 형태의 원 중 면으로 구성된 원을 제외한 두 가지 원의 형태를 시각화에 활용했습니다. 작업 과정에서 사진작가의 이미지를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과 이를 통해 [인간 존재의 불완전함]을 표현해야 한다는 과제가 있었습니다. 신체 특정 부분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불완전한 형태를 표현해야 했는데, 다른 방향의 상체 이미지를 합쳐 인간의 몸이지만 실재하지 않는 이미지를 표현하려 의도했습니다. 제 1장부터 제 4장까지 선으로 구성된 원이 점차 점으로 구성된 원으로 변하는 과정을 통해 작품의 [흐름]을 표현하려 했습니다. 색상 사용에 있어서도, 사진 이미지를 제외한 배경 혹은 원의 색상이 흰색 혹은 검은색으로만 구성되도록 표현했는데, 흰 색이 가지는 ‘無(무)’의 이미지와 검은 색이 가지는 '有(유)’의 이미지 대비를 통해 [죽음]이라는 극단적 상황을 표현하고자 의도했습니다.
Slide 1
Slide 2
Slide 3
Slide 4
Slide 5
Slide 6
Slide 7
Slide 8
Slide 9
Slide 10
Slide 11
Slide 12
Slide 13
Slide 14
Slide 15
Slide 16
Slide 17
Slide 18
Slide 19
Slide 20
Slide 21
Slide 22
Slide 23
Slide 24
Slide 25
Slide 26
Slide 27
Slide 28
Slide 29
Slide 30
Slide 31
Slide 32
Slide 33
Slide 34
Slide 35
Slide 36
Slide 37
Slide 38
Slide 39
Slide 40
Slide 41
Slide 42
Slide 43
Slide 44
Slide 45
Slide 46